- 교육기간
- 2023-10-24 ~ 2024-05-10
- 교육시간
- 09:00~16:40 1일 7교시 [월,화,수,목,금]
- 모집인원
- 25명
교육상세보기
프로젝트 팀주제 | 세부 수행 내용(과업) | 습득 직무 역량 |
---|---|---|
코드자동화 및 배포관리 | - VPC 및 외부 네트워크 망 구성을 할 수 있다. - 내부 및 외부망 구성 - CloudWatch 모니터링을 통한 인프라 최적화 작업을 할 수 있다. - Ansible 실습환경을 구성할 수 있다. - Ansible inventory file을 작성할 수 있다. - Ansible Playbook을 작성할 수 있다. - 작성한 Ansible playbook을 커멘드로 실행할 수 있다. - AWS CLI를 이용하여 EC2, VPC를 생성할 수 있다. - Ansbile Playbook를 이용하여 규격화된 서버들을 구성할 수 있다. |
- Ansible 플레이북 구현 - Yaml 파일 작성 - 복잡한 플레이북 설정 - 데브옵스 환경에 Ansible 구현 - 클레이북 컬렉션 관리 - 플레이북으로 태스크 실행 제어 - AWS CLI를 이용하여 AWS 인스턴스, VPC 구성 |
프로젝트 팀주제 | 세부 수행 내용(과업) | 습득 직무 역량 |
---|---|---|
AWS를 이용한 Public 및 Private Cloud 구축 및 운영 | - Public 및 Private Cloud에 대한 계획 수립과 설치를 할 수 있다. - 윈도우와 리눅스를 설치하여 통합 운영 관리할 수 있다. - 웹서버를 이중화 구성을 하여 안정적인 운영을 할 수 있도록 한다. - RAID를 구축하여 데이터를 보호하고 원활한 스토리지 공유를 할 수 있도록 한다. |
- AWS의 서비스인 EBS, EC2, RDB, VPC, S3에 대한 구조 및 기능을 습득하고 클라우드에서의 서버, 네트워크, 보안 인프라를 안정적으로 구축하고 운영할 수 있는 역량 |
프로젝트 팀주제 | 세부 수행 내용(과업) | 습득 직무 역량 |
---|---|---|
인프라 구축 환경 분석, 계획, 구축, 운용 및 관리 | - 인프라 구축에 앞서 필요 장비의 구성과 기능 및 각 프로토콜에 대한 정보 수집 및 파악 - 각 계층별 장비의 구성과 운용 프로토콜을 숙지하고 단위 프로젝트 구성을 위한 구축 계획을 수립 - 단위 프로젝트 구축 계획에 따른 단위 구축 프로젝트 수행 - 구축된 프로젝트 인프라의 운영 및 관리 업무를 수행 및 산출물 관리 |
- 네트워크 구축에 필요한 각 계층별 장비의 현황 및 자재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. - 다양한 구축 방법 파악 및 가장 적합한 방법을 선정할 수 있다. - 선정된 구축 방법에 대하여 세부 계획을 수립하고 계획서를 작성할 수 있다. - Switch 및 Router 를 설치하고 관리 할수 있다. - Switching 및 Routing 을 구성하고 관리 할 수 있다. - 무선 환경을 구성하고 관리할 수 있다. - 트래픽 분산 환경을 구축하기 위하여 구성된 네트워크 환경을 이중화할 수 있다. - 장애에 대비하기 위하여 구성된 네트워크 환경 및 설정, 구성 파일을 백업할 수 있다. - 장애시 빠른 복구를 위하여 백업된 네트워크 환경 및 설정, 구성 파일을 이용하여 복구할 수 있다. - 네트워크 장애 복구 환경을 점검하고, 정상 동작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. |
구분 | 1월차 | 2월차 | 3월차 |
---|---|---|---|
정규교과 | CentOS 운용 및 시스템 관리 (40H) |
CentOS 운용 및 시스템 관리 (50H) |
AWS on Python (60H) |
사용자 인증을 위한 ActiveDirectory 구축 (40H) |
사용자 인증을 위한 ActiveDirectory 구축 (40H) |
도커 컨테이너와 쿠버네티스 (40H) |
|
클라우드 운영을 위한 온프레미스 인프라 구축 (80H) |
- | AWS 아키텍처 설계 및 운영 (60H) |
|
프로젝트 | - | [프로젝트] 온프레미스 인프라 구축 (70H) |
- |
구분 | 4월차 | 5월차 | 6월차 |
---|---|---|---|
정규교과 | Ansible 활용 (10H) |
Ansible 활용 (90H) |
AWS on Python (50H) |
AWS 아키텍처 설계 및 운영 (40H) |
AWS 아키텍처 설계 및 운영 (60H) |
- | |
- | AWS on Python (10H) |
- | |
프로젝트 | [프로젝트] AWS를 이용한 Public 및 Private Cloud 구축 및 운영 (110H) |
- | [프로젝트] 코드 자동화 및 배포 관리 (110H) |
![]() SK네트웍스서비스㈜ |
![]() ㈜엠토스솔루션스 |
![]() ㈜한비로 |
![]() 씨앤토트플러스㈜ |
![]() 심플렉스인터넷 |
![]() 대형웍스㈜ |
![]() 주식회사 링네트 |
![]() 굿어스㈜ |
![]() 님버스네트웍스 |
![]() 오파스넷 |
![]() 위드아이에스 |
![]() 아이디노 |
![]() 콘텐츠브리지 |
![]() ㈜필라넷 |
![]() ㈜이글루시큐리티 |
![]() ㈜솔박스 |
![]() 대신네트웍스(주) |
![]() 디딤365 |
![]() ㈜BNK시스템 |
![]() 힐튼부산 |
![]() 영남정보통신㈜ |
![]() ㈜콤텍정보통신 |
![]() 휴먼베이스 |
![]() 엔에이치엔고도㈜ |
![]() 가온소프트㈜ |
![]() SK네트웍스서비스㈜ |
![]() ㈜엠토스솔루션스 |
![]() ㈜한비로 |
![]() 씨앤토트플러스㈜ |
![]() 심플렉스인터넷 |
![]() 대형웍스㈜ |
![]() 주식회사 링네트 |
![]() 굿어스㈜ |
![]() 님버스네트웍스 |
![]() 오파스넷 |
![]() 위드아이에스 |
![]() 아이디노 |
![]() 콘텐츠브리지 |
![]() ㈜필라넷 |
![]() ㈜이글루시큐리티 |
![]() ㈜솔박스 |
![]() 대신네트웍스(주) |
![]() 디딤365 |
![]() ㈜BNK시스템 |
![]() 힐튼부산 |
![]() 영남정보통신㈜ |
![]() ㈜콤텍정보통신 |
![]() 휴먼베이스 |
![]() 엔에이치엔고도㈜ |